총원 10명이서 5명씩 팀을 나누었고
경기 결과 후 이긴 사람이 0번 index, 진 사람이 1번 index로 정리했다.
다음 groups
배열을 가지고, 이긴 사람끼리 그리고 진 사람끼리 팀을 나눠 teams
배열을 완성한다.
let groups = [
['페이커', '쵸비'],
['바이퍼', '구마유시'],
['케리아', '페이즈'],
['데프트', '오너'],
['표식', '제우스'],
];
let teams = [
[],
[],
];
console.log(teams[0]);
console.log(teams[1]);
[ '페이커', '바이퍼', '케리아', '데프트', '표식' ]
[ '쵸비', '구마유시', '페이즈', '오너', '제우스' ]
<script>
let groups = [
['페이커', '쵸비'],
['바이퍼', '구마유시'],
['케리아', '페이즈'],
['데프트', '오너'],
['표식', '제우스'],
];
let teams = [
[],
[],
];
for(let i = 0; i<groups.length; i++){ //2차원 배열을 다뤄야하기 때문에
for(let j = 0; j <groups[i].length; j++){ //반복문을 곂쳐서 각 요소별 값들을 가져옴
teams[j][i] = groups[i][j] //groups의 각 index를 뒤집어서 teams에 할당
}
}
console.log(teams[0]);
console.log(teams[1]);
</script>